리틀블룸
기초연금 부부감액 제도 총정리 본문
기초연금 부부감액 제도가 2027년부터 단계적으로 폐지됩니다.
부부가 함께 받아도 연금이 줄지 않는 구조로 개편되며, 수급 대상자와 금액 변화에 대해 상세히 안내합니다.
안녕하세요!
혹시 이런 말 들어보셨나요?
“부부가 함께 기초연금을 받으면 각자 20%씩 깎인다.”
처음 들었을 때 솔직히 황당했어요.
두 사람이 같이 산다고 해서 지출이 줄어드는 것도 아닌데, 왜 연금까지 줄어들까요?
그런데! 드디어 바뀝니다.
정부가 2027년부터 ‘부부감액 제도’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했어요. 👏👏
오늘은 이 변화가 어떤 의미인지,
내 부모님 혹은 내가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
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.
부부감액 제도, 정확히 뭔가요?
간단히 말해,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을 경우 각자 연금에서 20%씩 깎는 제도입니다.
구분 | 1인 수급 시 | 부부 동시 수급 시 (감액) |
월 최대 연금 (2025년) | 342,510원 | 약 274,008원 × 2명 = 548,016원 |
이 제도는 2014년부터 시행됐어요. 도입 취지는 이랬습니다.
“부부가 함께 살면 생활비가 줄어드니까, 연금도 조금 줄여서 주자.”
하지만 현실은 달랐죠.
📉 월세, 병원비, 식비, 다 줄지 않습니다. 오히려 노후 빈곤이 더 심해졌어요.
2027년부터 폐지! 단계별 변화 요약
드디어 정부가 방향을 바꿨습니다.
연도 | 부부감액률 | 수급 총액 예시 (각 342,510원 기준) |
2025년 | 20% | 548,016원 |
2027년 | 10% | 약 617,000원 |
2030년 | 0% (완전 폐지) | 685,020원 (342,510원 × 2인) |
🚨 주의: 현재는 계획 발표 단계입니다.
정확한 시행을 위해 법률 통과, 예산 반영이 필요해요. 그래도 방향은 정해졌습니다!
누가 대상이 될까요?
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감액 폐지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:
☑️ 부부 모두 기초연금 수급자
☑️ 가구 소득이 선정기준액 이하 (부부 기준: 월 3,648,000원)
☑️ 감액률 적용 대상자 (현재 20%)
👉 소득 하위 40% 노인 부부부터 우선 적용될 가능성이 커요.
감액 계산, 이렇게 됩니다
혹시 "내가 받는 금액은 얼마일까?" 궁금하셨죠?
🔹 단계별 계산 흐름
- 개인별 산정연금액 계산 (최대 342,510원)
- 부부감액 20% 적용 → 274,008원
- 소득역전방지 감액 (고소득자는 추가 감액 가능)
🔹 예시
- 단독 수급: 342,510원
- 부부 수급: 274,008원 × 2인 = 548,016원
- 2027년 이후: 308,259원 × 2인 = 약 617,000원
- 2030년 이후: 342,510원 × 2인 = 685,020원
자주 묻는 질문 (Q&A)
Q1. 부부감액은 무조건 적용되나요?
A. 아니요. 부부 모두가 수급자일 경우에만 적용돼요. 1인만 수급이면 감액 없음!
Q2. 감액 폐지 후 신청 따로 해야 하나요?
A. 아닙니다. 기존 수급자는 자동 적용됩니다.
Q3. 국민연금 많이 받으면 기초연금 못 받나요?
A. 꼭 그렇진 않아요. 국민연금 수령액은 '소득인정액'에 포함되기 때문에, 일정 이상이면 수급 제한이 있어요. 확인이 필요해요.
Q4. 주민등록상 따로 살아도 감액 대상인가요?
A. 행정기관 기준에 따라 다릅니다. 사실혼·별거 등은 심사 대상이에요.
왜 이 제도가 중요한가요?
단순히 "돈 더 받는다"의 문제가 아니에요.
기대 효과는 큽니다.
- 노인 빈곤율 감소
- 형평성 회복
- 고령 부부의 존엄한 삶 보장
한국은 여전히 OECD 노인빈곤율 1위예요.
기초연금은 어르신들의 마지막 안전망이에요.
마무리하며
기초연금 부부감액,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.
✔️ 2027년부터 10% 감액 ✔️ 2030년 완전 폐지
이제 더는 "같이 산다고 연금을 깎는다"는 말, 없어질 거예요. 🙌
이 글이 부모님이나 주변 어르신들께 도움이 되셨다면, 공유해 주세요. ❤️
우리는 모두 더 나은 노후를 준비할 권리가 있으니까요.
기초연금과 노령연금 동시 수령 (중복수급), 자격 요건 정리
기초연금과 노령연금(국민연금)은 중복 수급이 가능할까? 기준 자격 조건, 신청 방법, 수령 금액 차이점까지 정리했습니다. 만 65세 이상이라면 반드시 확인하세요. 목차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이
merry3.more-merrier.co.kr
'생활 및 가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이버 블로그 계정 추가법 총정리 (0) | 2025.09.18 |
---|---|
후불하이패스카드 발급 총정리 (0) | 2025.09.17 |
유기견 입양 절차, 지원금 및 주의사항 (0) | 2025.09.16 |
유기견 입양 지원금, 지역별 혜택 총정리 (0) | 2025.09.16 |
유기견 신고 절차 및 전화번호 총정리 (0) | 2025.09.16 |